ITGeine

BeSTCon 2017 참석 후기 본문

Study/Conference

BeSTCon 2017 참석 후기

Nick9 2017. 12. 4. 13:20
BeSTCon 2017

 2017. 11. 22(수) 양재동에서 열린 Better Software Testing Conference 2017(BeSTCon)에 참석했다.
타 부서 본부장님께서 알려 주셔서 운 좋게 참석할 수 있었다.
 

오전 세션까지는 하나의 주제로 진행되다가, 오후 세션부터는 두 주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내가 참석한 트랙은 다음과 같다.

시간

프로그램

10:10~12:00

오전 세션


ž   글로벌 SW테스팅 현황 및 미래

/일본국립대학법인 전기통신대학 NISHI, Yasuharu

ž   소프트웨어 테스팅 산업 현황과 테스팅 검증의 중요성

/숭실대학교 SW학부박진호 교수

ž   빅데이터 시각에서 본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이슈와 전략

/테크원이원재 대표 컨설턴트

ž   소프트웨어 테스트 시장 확대 전략

/와이즈스톤신석규 회장


13:00~14:00

14:30~17:50

오후 세션 (Track 2 – SW Testing Trend)


ž   모바일 테스트 센터를 활용한 SW품질 고도화 사례

/하나금융티아이김승래 부장

ž   AI를 활용한 App 자동 테스트 사례

/엠비안황재준 대표이사

ž   차세대 전자상거래 구축 프로젝트에서의 품질확보 전략

/롯데닷컴강진구 책임

ž   SW 오류 검출에 효과적인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 기법 : Concolic 테스팅

/KAIST 전산학부김문주 부교수

ž   SW융합기술지원센터 기업지원서비스 소개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추영관 팀장

ž   데이터로 바라본 국내외 SW테스팅 사례

/한국인사이트연구소김덕진 부소장



-       글로벌 Testing 현황 및 미래 

일본의 교수인 Yasuharu를 통해 일본의 테스팅 문화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테스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비영리단체가 있으며 Teste는 숙련도 및 자격증 별로 구별된다. 현재 세계의 Testing Trend DevOps, CI/TDD, 테스트 자동화, 애자일 테스트 등 다양하게 존재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좀 더 자세하게는 테스팅 애자일 기법으로 하는 Testing과 애자일 프로젝트를 위한 Testing, AI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과 테스트를 AI로 하는 방법 등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       소프트웨어 테스팅 산업 현황과 테스팅 검증의 중요성 

국내 SW Testing 산업 현황을 자료를 통해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현재 테스팅 산업은 아웃소싱, SW 교육/컨설팅, SW테스트 솔루션(tool) 개발 및 공급 순으로 사업분야가 나뉘어 있고, 인력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현상은 미흡한 국내 Testing 분야에서의 관리와 지원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국가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또한 기존 기업에서 Testing 활동을 사내에서 수행하는 방법보다 제 3자에게 SW 테스팅/ 검증을 맡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빅데이터 시각에서 본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이슈와 전략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Test하는 방법 또한 필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빅데이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종전의 정보시스템 프로그램과 다른 특징을 가지며 대부분의 알고리즘의 출력은 확률적이다. 이러한 모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Testing을 하는 방법으로는 혼동 매트릭스와 통계량 분석이 있다는 정보를 얻었다.


-       소프트웨어 테스트 시장 확대 전략

30조의 규모를 가진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정부 R&D가 차지하는 규모는 약 19조원의 규모이다. 이러한 시장 현황에 맞추어 SW테스팅 업계에서는 최신 기술이 반영된 새로운 테스트 방법론과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R&D 활동이 필요하며, 정부/지자체가 발주한 R&D 과제를 대상으로 결과물을 창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모바일 테스트 센터 구축을 통한 품질관리 개선사례

모바일 환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모바일 QA환경 또한 복잡해지고, 스마트 기기의 관리 비용의 증가 및 정보 유출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 품질 확보 및 업무 효율화를 위해 온라인으로 실제 모바일 환경을 사용할 수 있는 Test 센터를 구축한 하나금융의 사례를 알게 되었다.


-       AI를 활용한 App 자동 테스트 사례

현재 제공되고 있는 Mobile Test Cloud 서비스의 Test Coverage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클라우드 상에서 AI를 활용해 App을 자동 Testing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했으며 기존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딥러닝을 통해 Testing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놀라움을 느꼈고, 아직 Input value order나 특정 label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해 추후 과제가 있다고 느꼈다.


-       차세대 전자상거래 구축 프로젝트에서의 품질확보 전략

롯데닷컴에서 전자상거래를 구축한 상세 사례를 중심으로 Testing 전략에 대해 알게 됨. Test 인력 투입 시점의 적절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과 모든 branch coverage하는 test case를 설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일정에 맞출 수 있는 수행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SW 오류 검출을 위한 동적 테스트케이스 자동생성 기법

Static analysis Secure coding rule checker와 같은 기술들은 hard-to-detect를 발견하기 어렵다. , 기초적인 Branch Coverage cover한다고 결함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Test case를 생성하는 Concolic(CONCrete + symBOLIC) testing technique이 도입 될 필요가 있다. 이 기법은 Unit-level 에서 exceptional scenario를 테스트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System-level에서 main scenario를 테스트하는 Traditional testing 방법과 결합되어 사용한다면 SW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을 것이다.


-       SW융합기술지원센터 기업서비스 소개

국가에서 제공하는 테스팅 도구 활용지원 서비스에 대해 알게 되었다. 사용 기간이 정해져 있긴 하지만, Sparrow와 같은 Static 분석 도구인 Sparrow를 비롯해 커버리지 측정, 성능 테스팅 도구와 같은 SW 테스팅 장비, 개발/설계장비, 네트워크 시험 장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해준다


-       데이터로 바라본 국내외 SW 테스팅 사례

일반인이 바라보는 Testing에 대한 생각을 SNS 분석을 통한 키워드로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는 Testing이 전문가가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꼭 그런 것이 아니라 테스팅이 일반인들도 재미있게 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크라우드 테스팅의 가능성을 느끼게 되었다.



 국내실제 Practice 중심으로  Testing Trend를 알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다. 

 어려운 내용은 전부 이해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키워드라도 얻은 게 어디냐 싶다. 


 행사에 대해 조금 아쉬운 점을 말하자면, 사전 신청을 1000명 이상 했다고 들었는데 점심 도시락은 당일등록 선착순 100명에게만 제공되었다는것. 꽤 일찍 갔다고 생각했는데 못 받아서 아쉬웠다. 그리고 발표 자료집 또한 선착순 300명에게만 제공되었다.(다행히 이건 받을 수 있었다) 참가 인원은 신청수로 대략 짐작이 가능했을 텐데.. 사람이 많아 자리가 없어서 서서 듣는 사람도 부지기수였다. 이런 운영적인 측면에서 아쉬움을 느꼈다. 

'Study > Confer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요구공학과 AI 테스팅  (0) 2019.07.24